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52)
한국음악-발전및계승(조선시대-대표적인음악2) 진짜 봄인가 보네요 사람들의 옷이 점점 얇아져 갑니다 저도 오늘 걷옷을 안 입고 왔거든요.ㅋㅋㅋㅋ 날씨가 따뜻해진만큼 이제 더 화이팅 하며 지내야 겠어요 오늘은 어제에 이어서 조선시대 대표적인 음악에대해 더 알아볼까합니다. ▶영산회상의 발달 〈영산회상(靈山會相)>은 《대악후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불교의 노래로 무도에 쓰였다가 후에 《유예지(遊藝志)》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령산(中靈山), 세령산, 가락덜이 같은 본(本) 영산의 빠른 변주곡과 〈영산회상〉의 음악과 관계없는 상현도드리, 하현(下弦), 염불, 타령, 군악(軍樂)이 추가되었고, 나중에는 더 빠른 가벼운 곡으로 계면(界面) 가락도드리, 양청(兩淸), 우조(羽調) 가락도드리가 끝에 달렸습니다. 이같이 선비들이 즐기는 〈영산회상〉 같은 실내악이 ..
한국음악-발전및계승(조선시대-대표적인음악1) 요즘은 여러장르의 음악을 주로 듣고 있어요 차로 이동하는시간들이 많아서 이런저런장르를 듣고있죠 몰랐던 음악은 좀 찾아보면 어떤 장르인지 쉽게알수있습니다 역시 우물안 개구리였음..ㅋㅋㅋ 오늘은 지난시간에 이어서 조선시대대 대표적인 음악에대해 알아볼까합니다 ▶보태평과 정대업 《보태평》은 선왕의 문덕(文德)을, 《정대업》은 그 무공을 각각 한문으로 칭송한 것이고 음악은 고취악에 기하여 만들어진 것입니다. 《정대업》 중의 화태(和泰)와 순응(順應)의 음악은 각각 고려 때의 〈서경별곡〉과 〈만전춘〉의 곡에서 차용하였습니다. 《보태평》 11곡은 모두 임종궁(林鍾宮)의 평조(平調)이고, 《정대업》 15곡은 모두 남려궁(南呂宮)의 계면조(界面調)입니다. 원래 《보태평》과 《정대업》은 세종 때 연례(宴禮)에 연주되었는데..
한국음악-발전및계승(고려시대,조선시대) 오늘도 아침부터 바쁘게 움직이고 아이 학교보내고 청소하고 ㅋㅋㅋㅋㅋ 이젠 집안일도 같이 나눠서 해야하는시대이니까요 이젠 익숙합니다 오늘은 고려시대랑 조선시대 한국음악에대해 알아볼까합니다 1. 고려 시대 고려를 창건한 태조(太祖)는 신라의 고풍을 많이 답습하였습니다. 화랑 또는 선랑(仙郞)이 천령(天靈)과 오악(五嶽)·명산대천(名山大川)·용신(龍神)·신기(神抵)에 국가 태평을 비는 팔관회(八關會)와 불교의식인 연등회(燃燈會)가 그 일례입니다. 이 두 가지 의식은 향악과 당악뿐만 아니라 백희(百戱)까지도 포괄한 대규모 의식으로, 그 음악들도 의식과 함께 신라의 것을 답습하였습니다. 신라풍의 사뇌가(詞腦歌)는 균여(均如, 917-973)에 의하여 계속되었습니다. 그러나 예종, 의종(毅宗) 때에 이르러서는 신라..
한국음악-발전및계승(남북극시대) 날씨가 넘 좋은거 아닌가요? 이럴때는 나가고싶어요 전 오늘은 커피고 시작합니다 요즘은 믹스커피가 그렇게 땡기더라구요 약간 중독?ㅋㅋㅋㅋ 커피는 역시 믹스죠..ㅋㅋ 오늘은 남북극시대의 한국음악에 대해 알아볼까합니다 1. 신라 통일 이후의 신라에서는 향악의 발전이 두드러졌습니다. 특히 가야금, 거문고, 향비파의 3현과 대금, 중금, 소금의 3죽으로 대표됩니다. 거문고 음악은 옥보고가 지리산에 들어가 지은 30여 곡이 있으나 전해지지 않습니다. 비파음악은 212곡, 대금곡은 324곡, 중금곡은 245곡, 소금곡은 298곡의 이름이 전합니다. 또한 당악이 유입된 것도 통일 이후이다. 문무왕 4년에 사람을 보내 당악을 배웠다는 기록이 남아있고, 각종 유물에서 당악기의 그림을 볼 수 있습니다. 당나라 음악의 비중이..
한국음악-발전및계승 오늘은 일주일을 시작하는 월요일이네요 잇님들은 월요병 없으세요?^^ 전 있거든요 그냥 괜히 피곤해요 저만 그런거 아니죠?^^ㅋㅋㅋ 그래도 다들 이겨내자구요 요즘 이런저런 음악을 들으면서 참 여러가지 장르가 있구나 하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한가지 장르만 듣는게 아니라 여러가지 장르를 또 들어보면 몰랐던것도 알게되더라구요 오늘은 한국음악에서 발전및 계승에대해 알아보려고해요 1. 상고시대 상고 시대의 국악에 관한 내용은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부여의 영고, 고구려의 동맹, 동예의 무천 등 절제와 같은 제천 행사에 관련된 중국 역사서에 술을 마시고 노래를 불렀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한국의 상고 시대 음악은 각 부족의 제천의식에 쓰이는 의이였던 것이 옛 중국 문헌에서 단편적으로 보입니다. 부여ㆍ고구..
한국음악 오늘은 즐거운 일요일입니다 근데 전 오늘도 수업을 해요 열심히 일할수 있음에 감사하며 수업을 하죠 오늘부터는 한국음악에 대해서 알아보려고합니다 으~~~ 한국음악에대해 빨리 알아보고 싶었는데 드디어 시작하는군요 우리 같이 알아봐요^^ 한국음악(韓國音樂)은 한반도 및 중국 동북부 등에서 발생하여 고대시대부터 전래되어오는 음악과, 이를 기반으로 오늘날 새로이 생성되고 있는 음악(창작국악 등), 또한 현대에 서양음악의 기법을 사용하여 창작된 현대 대중음악 등을 포함하여, 한민족(韓民族)의 음악을 총칭합니다. 지역상 동양음악의 한 갈래입니다. 좁은 의미의 한국음악은 한국 전쟁 이전의 조선왕조에서 관촬하여 계승하도록 장려한 것과 백성들의 자발적인 농악을 포함한 전래·전통 음악, 즉 국악(國樂)을 가리킵니다. 이러한..
서양음악-R&B(알엔비-리듬앤블루스) 많이 따뜻해지는 요즘... 기분이 싱숭생숭하네요 놀러가고싶은 마음이 넘 많으니까요 역시 현실은 일을 해야하니 속상하지만요 그래도 모두모두 화이팅 입니다 오늘은 R&B에 대해서 알아보려고합니다 전세계적으로 대세죠..ㅋㅋㅋ 같이 알아봐요 리듬 앤 블루스(영어: rhythm and blues) 또는 알앤비(R&B)는 흑인의 생활 양식에 맞도록 녹음된 블루스 보컬이나 밴드 연주의 대중음악을 총칭합니다. 나른한 듯한 느낌을 주기도 하며 가성을 많이 섞어 부르기도 합니다. 1940년대 말 ~ 1950년대 초, 블루스가 스윙 같은 댄스풍 재즈와 섞여 태어난 흑인 음악입니다. 블루스보다 댄스 비트가 강하고 리듬 멜로디도 대중적입니다. 가사도 고단한 삶을 노래하던 블루스와 달리 쾌락적으로 흘렀습니다. 보통 줄여서 R&B..
서양음악-블루스(연도별역사2) 요즘은 밤에 별 보기가 넘 어렵죠 좀전에 나갔다 왔는데 별은 하나도 못봤어요 예전에 시골에 살았을때는 당연시 했던것이 이제는 시골에만 가야 볼수있거 같아요 저희 아이가 별 보고싶다고 하는데 시골에 한번 가봐야 겠어요.ㅋㅋㅋㅋㅋ 오늘은 연도별역사 마지막시간입니다 같이 한번 알아볼까요 1. 1950 ~ 60년대 대중음악의 형성 과정에 있어서 블루스의 가장 큰 역할은 바로 "록 음악의 탄생"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1950년대 후반, 블루스의 성장과 함께 백인들이 블루스를 받아들이기 시작했고, 블루스 음악을 백인들의 취향에 맞게 가공하면서 록 음악이 생겨나기 시작한 것입니다. 그런데, 블루스의 성장과 록 음악의 탄생이 이뤄진 곳은 블루스의 발상지인 미국이 아닌 대서양 건너 영국 땅 이었습니다. 한편, 머디 워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