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

서양음악-고전파음악

잘 지내고 계시죠?

아침부터 뭘 먹을까 고민하다가 아침을 못먹고 있어요

배고파요...T.T

 

오늘은 서양음악에서 고전파 음악을 알아볼까 합니다

익숙지 않은 용어와 인물들이 등장을 하는데

그래도 역사를 아니 넘 잼있어요

그럼 한번 같이 알아볼까요?

 

 

고전파음악은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엽은 일반 역사뿐만 아니라

음악적 형식과 스타일에서 중요한 변화를 가져오게 한 시기였습니다.

고전음악은 객관성, 정서적 제지(情緖的制止), 형식의 명료, 어떤 구조적 원칙 고수 등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이 고전적 정신은 오페라와 다른 극적 형식에서보다도 관악 형식으로 맞추어져 있습니다.

대표적인 작곡가로는 베토벤, 하이든, 모차르트 등을 들 수 있죠.

많이 들었던 인물들이죠? 저도 상당히 좋아하는 작곡가들입니다

 

고전주의 음악(古典主義音樂, Classical Music)이란,

음악에서 1750년경부터 1810년경까지 주로 오스트리아 빈을 중심으로 발전한 서양음악사조를 말합니다.

'고전'이라는 말뜻에는 '모범적 예술, 균형적 형식, 누구에게나 쉽게 이해되는 성격, 시대초월적 성격'이 포함되어

이미 질적인 가치를 함축하고 있습니다.

고전주의 음악의 개념을 처음으로 사용한 음악사학자는

루트비히 판 베토벤로 하이든과 모차르트의 음악을 독일문학에서의 바이마르 고전주의를 모델로 삼아

고전적이라고 명명하였습니다.

음악에서 '고전(Klassik)' 이라는 개념이 처음 나왔을 때는 시대 개념이 아니라,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의 음악과 다른 음악을 구별하는 질적 개념으로 쓰였습니다.

이들의 교향곡이 1800년 초 음악회장의 모범적 레퍼토리로 고정되면서,

호프만(E.T.A Hoffmann)과 같은 사람들이 이를 기악음악의 절정으로 평가하였습니다.

반할, 보케리니, 클레멘티, 케루비니, 메율 등도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과 같은 작곡 양식을 썼으므로,

'고전'은 음악사에서 이들 전체를 통칭하는 시대 개념으로 쓰이게 됩니다.

고전파 음악은 '자연스러움', '단순성', '보편성'을 강조한 결과입니다.

'자연스러움'은 파악이 어려운 변화나 이론적 딱딱함을 가지고 듣기를 강요하지 않는,

감정적으로 자연스럽게 '같이 느끼게 하는' 방식을 추구하게 됩니다.

'단순성'의 추구는 예술 음악의 출발점을 민요적인 것으로 삼게 합니다.

'보편성'은 세상 사람 누구나 알아들을 수 있는 세계성을 지향한다. 물론 이러한 생각은 초기에만 강력하였고,

시간이 지나면서 약화되어 베토벤과 같이 예술가의 독창성과 작품성이 강조됩니다.

고전파 음악의 특징으로는 주요 3화음을 중심으로 한 기능 화성법의 확립,

소나타 형식에서의 제1, 제2주제의 조성을 으뜸음과 딸림음과의 관계에서 파악하여

두 주제의 성격적 대비를 갖게 했다는 점, 그리고 주제를 유기적으로 전개하는 '주제노작(主題勞作)'원리의 확립,

2관편성의 오케스트라, 소나타 형식에 바탕을 둔 교향곡, 협주곡, 실내악곡, 독주곡과같은

악곡형식을 낳았다는 점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바로크 시대와 고전파 사이에서 고전파에의 디딤돌 구실을 한 시대를 전 고전파(1720-1760경)라고 합니다.

로코코 음악은 18세기의 화려한 궁정생활을 반영한 것이나 로코코 시대의 경쾌하고

우아한 양식을 '갈랑 양식'(gallant style)이라 하며 대위법적인 수법에서 화성적 수법으로의 이행을 나타내며 섬세하고 우아한 멜로디와 단순한 형식, 세속적이며 사교적인 성격을 지닌 소곡 등을 그 특징으로 합니다.

이 양식을 전형적으로 나타낸 것이 18세기 중엽 프랑스의 클라브시니스트인

프랑수아 쿠프랭, 장 필립 라모, 다캥 등의 작품입니다.

그리고 이 경향에서 18세기 후기에 북독일에서 빌헬름 프리데만 바흐나 칼 필립 엠마누엘 바흐, 게오르그 벤다,

요한 요아힘 크반츠 등에 의하여 대표되는 자연스럽고 풍부한 감정표출을 지향한 감정 과다양식이 일어났습니다.

또 1770년에서 1795년경 독일에서 발생한 헤르더, 괴테, 실러 등의 문학운동인

슈투름 운트 드랑(질풍노도양식)이 음악에도 영향을 미쳐

디나미크나 멜로디크, 관현악법에 두드러진 대조적 효과를 주었습니다.

슈베르트, 슈타미츠의 기악곡, 요한 프레데릭 라이히아르트, 첼터, 츰시티크 등의 가곡에서 그 예를 볼 수 있습니다.

빈에서는 게오르크 크리스토프 바겐자일 등이 교향곡의 악곡구성 면에서 기초를 이룩하였습니다.

그리고 만하임에서는 예술을 애호했던 선제후 카를 테오도르의 궁정에서

요한 벤젤 안톤 슈타미츠, 홀츠바우어, 리히터, 카나비히 등이 활발히 활동하였습니다.

빠름-느림-빠름의 3악장에 미뉴에트를 쓴 4악장의 악곡 구성, 제1, 2주제의 성격적 대비, 크레셴도, 디미누엔도, 포르테, 피아노 등의 음량변화, 관악기의 중시, 장식법 등이 고전파 음악에 대하여 많은 공적을 남기고 있습니다.

그 밖에 이탈리아에서는 스카를라티, 사키니 등의 쳄발로 소나타, 파리에서는 고세크, 런던에서는 크리스티안 바흐 등이 전기 고전파에 활약한 사람으로 유명합니다.

 

오늘도 많이 알아봤네요. 처음엔 좀 어려웠지만 지금은 이해가 많이 되네요

어떤거든 역사를 바로알고 나면 흐름이 이해가 되네요

다음번에는 고전주의새대를 좀더 알아보겠습니다